Image
Android/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목표

  • 의존성 주입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 의존성 주입이 왜 필요한지 이해한다.

 

의존성 주입이란?

의존성 주입이란 클래스간 의존성을 클래스 외부에서 주입하는 것을 뜻한다.

의존성 주입 그 자체는 클래스간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것을 뜻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에 대한 의존성의 인터페이스화를 통한 코드 유연성 증대 +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외부에서 생성하여 주입 을 동시에 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아래에서 의존성이 무엇인지 왜 인터페이스화를 하는 것이 필요한지부터 살펴보자.

 

의존성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간에 의존성이 있다는 것은 클래스간에 의존 관계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클래스 간에 의존(Dependency) 관계가 있다는 것은 한 클래스가 바뀔 때 다른 클래스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뜻한다.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 설명을 살펴보자.

 

 Computer와 CPU가 있고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CPU가 필요하다. 마침 나에게는 i5 intel cpu가 있다. 이런 경우 Computer는 그림1과 같이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림1. 컴퓨터와 cpu

 그림1에서 특정한 프로그램이 CPU를 사용한 시간을 구하기 위한 메서드를 추가해달라는 것이 요구사항으로 들어왔다. 이를 위해서는 그림2와 같이 Computer Class에 getCPUTime(program: Program) 메서드를 넣으면 된다.

 

그림2. CPUI5에 의존하는 메서드를 가진 클래스

 

 그런데 갑자기 요구 사항이 바뀌어 성능이 더 높은 CPU로 변경이 필요해졌다. 즉, CPUI5를 CPUI9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해졌다. 문제는 CPUI9 Class에서는 더이상 CPUTime을 getProgramTime메서드로 가져오지 않는다. 이런 경우 우리는 기존 Computer Class에서 사용했던 getCPUTime function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해당 메서드를 수행해야 하는데 없으므로 오류가 생기게 된다.

 

그림3. CPUI9으로 변경

 

 따라서 그림3의 Computer을 다시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림4와 같이 메서드 명을 수정해야 한다. 이렇게 할 경우 이제 다시 CPU에서 CPU Time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림4. CPUI9에 맞는 메서드로 수정

 

 위의 예시에서는 바뀌는 클래스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1줄이었다. 그렇다면 만약 해당 클래스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10줄이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클래스 하나를 수정함으로써 10줄의 코드를 모두 수정해야 한다. 만약 100줄의 코드가 영향을 받았으면? 100줄의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이렇게 할 경우 코드에 변경이 있을 경우 해당 변경에 의존성을 갖는 한 코드라도 수정을 하지 않은 곳이 있다면 오류를 발생시킬 것이기 때문에 코드의 품질은 물론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그림5와 같이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여 클래스로부터 의존성을 없앤다. 이렇게 되면 Computer Class의 cpu에는 CPUI5 Class와 CPUI9 Class 둘다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통해 CPU Time을 가져오므로 Computer Class는 CPU가 바뀌더라도 변경될 일이 없다.

 

그림5. CPU 인터페이스화

 이렇듯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하여 특정 클래스에 대한 의존성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의존성이 무엇인지, 의존성을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살펴봤다. 그렇다면 주입은 왜 필요한지 아래에서 살펴보자.

 

주입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할까?

 주입은 클래스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하여 해당 객체를 클래스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다.

 

 주입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  그림6과 같이 여러 종류의 Computer(Computer1, Computer2, Computer3)를 가진 회사가 있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컴퓨터들에서는 하나의 모니터를 이용해 화면을 분할하여 컴퓨터의 연산 내용을 출력하고 있다. 이때 이 컴퓨터들은 모니터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림6. Monitor을 공통으로 쓰는 컴퓨터들

 

 하지만 Computer Class 내부에서 Monitor가 인스턴스화된다면 Computer Class마다 Monitor를 생성하여 들고 있게 된다. 우리는 이를 Computer가 Monitor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강하게 결합되어 있을 경우 관리를 하기가 어렵다. 왜 관리가 어려운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24인치 모니터로 출력하던 것이 너무 글씨가 작아 32인치 모니터로 바꾼다고 하자. 그러면 각 컴퓨터 클래스를 그림7과 같이 바꿔야한다.

 

그림7. Computer의 출력 모니터를 32인치로 변경

 

 모니터를 24인치에서 32인치로 바꿨을 뿐인데 3줄을 바꿔야 한다. 클래스를 변경해야 될 때, 3개 클래스 모두에서 수정이 필요하다.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입을 사용한다.  

 

그림8. 모니터에 대한 의존성 주입

 

그림 8에서는 외부에서 Monitor 인스턴스를 만들어 Monitor가 필요한 각 클래스에 주입한다. 이러한 인스턴스를 저장하는 공간을 우리는 Container라 부른다. 이제 객체에 대한 제어 권한이 더이상 Computer에 있는 것이 아닌 Container에 있다. 이를 우리는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이라고 부르며, 인스턴스를 저장하는 Container을 IOC Container라 부른다.

 

 이렇게 구조를 바꾼다면 Computer Class는 Monitor의 구현체를 외부에서 주입 받는 로직을 수행하는 것 위에는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굳이 여러개의 CPU 인스턴스를 만들지 않고 한 개의 Monitor인스턴스만을 사용하는 것이 메모리 측면에서도, 관리 측면에서도 편하다. 

 

 

의존성 주입의 의의

위와 같이 의존성 주입을 받는다면, 클래스간의 결합도가 약해진다. 클래스간의 결합도가 약해진 다는 것은 한 클래스가 변경될 경우 다른 클래스가 변경될 필요성이 적어진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서 다양한 이점이 생기게 되는데 대표적인 이점은 다음과 같다.

 

  • 클래스간의 결합도가 약해져, 리펙토링이 쉬워진다.
  • 클래스간의 결합도가 약해져 특정 클래스를 테스트하기가 편해진다.
  • 인터페이스 기반 설계는 코드를 유연하게 한다. 확장을 쉽게 한다.
  • UI가 있는 프로그램에서는 생명 주기가 중요한데, 생명주기 별로 Container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면 리소스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안드로이드에서의 의존성 주입

안드로이드에서의 의존성 주입은 Dagger-Hilt를 사용한다. Dagger-Hilt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Dagger2에 대한 동작 방식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반응형

 

이 글의 저작권은 '조세영의 Kotlin World' 에 있습니다. 글, 이미지 무단 재배포 및 변경을 금지합니다.

 

 

Kotlin, Android, Spring 사용자 오픈 카톡

오셔서 궁금한 점을 질문해보세요!
비밀번호 : kotlin22

open.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