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선택 정렬 알고리즘이란? 선택 정렬 알고리즘은 주어진 배열의 특정 구간에서 최대값을 찾아 해당 구간의 마지막 위치의 값과 위치 변경을 반복해 정렬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를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인터를 배열의 마지막 위치에 위치시킨다. 2. 배열 맨 앞의 값부터 포인터의 위치까지 값 중 최대값을 찾는다. 3. 찾은 최대값을 포인터의 위치의 값과 교환한 후, 포인터를 하나 앞으로 옮긴다. 4. 1~3의 과정을 포인터가 배열의 맨 앞 원소로 이동할 때까지 반복한다. 위의 방법에서는 최대값을 찾아 마지막 위치의 값과 교환하는 방식을 사용했지만, 최소값을 찾아 맨 앞의 위치의 원소와 교환하는 방법도 선택 정렬 알고리즘이라 부른다. 이번 글에서는 최대값 방식으로 정렬을 하도록 하겠다. 선택 정..
Bubble Sort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Bubble Sort 알고리즘은 인접한 두 개의 원소를 반복적으로 비교해 순서를 바꾸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배열이 있다고 했을 때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를 한 번 반복하면 배열의 맨 마지막에는 가장 큰 원소가 남게 된다. 이후 한 번 더 반복하면 배열의 맨 마지막에는 배열에서 가장 큰 원소가, 배열의 맨 마지막에서 두 번째 자리에는 배열에서 두번째로 큰 원소가 위치하게 된다. 이를 원소의 개수만큼 반복하면 전체 원소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이 것이 Bubble Sort 알고리즘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큰 원소가 점점 맨 뒤로 이동하는 것이 마치 Bubble(거품) 같아서 라고 한다. 아마 글로는 잘 이해가 가지 않을 것이다. 아래에서 그림으로 보..
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 이전 글에서 Priority Queue가 무엇인지, 내부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시간 복잡도는 어떻게 되는지 다루었다. 이번 글에서는 Kotlin에서 실제로 Priority Queue를 어떻게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다루고자 한다. PriorityQueue 클래스 사용해 PriorityQueue 초기화하기 Kotlin에서 Priority Queu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ava.util 패키지의 PriorityQueue 클래스를 사용하면 된다. PriorityQueue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초기화할 수 있다. val priorityQueue = PriorityQueue() PriorityQueue에 값 삽입 하기 PriorityQueue에 값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offer 함..
Binary Search Tree 구현하기 이전 글에서 Binary Search Tree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를 직접 구현해보려고 한다. 구현할 Binary Search Tree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미 있는 값의 추가 요청이 들어오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반환한다. 노드는 임의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data class Node(var value: Int) { var left: Node? = null var right: Node? = null } insert 메서드 구현하기 새로운 노드를 추가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추가 요청이 들어온 노드를 생성한다.(새로운 노드) 루트 노드가 null인지 확인 후 null이라면 새로운 노드..
Binary Search Tree란? Binary Search Tree는 Binary Tree의 한 종류로써, 데이터를 저장하고 탐색하기 위한 자료 구조이다. Binary Search Tree는 각 노드가 특정한 값을 가지고 있고, 각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에는 노드의 값보다 더 작은 값의 노드들이, 오른쪽 서브트리에는 더 큰 값의 노드들이 위치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Binary Search Tree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값들이 정렬되어 있는 Binary Tree 구조이다 : 특정 노드를 기준으로 해당 노드 왼쪽에 있는 노드들은 모두 해당 노드의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해당 노드 오른쪽에 있는 노드들은 해당 노드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진다. 위와 같이 정렬되어 있어, Binar..
Dev.Cho
'Kotlin' 태그의 글 목록 (13 Page)